본문 바로가기
수입/테크

[24년 6월] 대용량 결혼 사진 장기 보관하기 2

by 링크박사 2024. 6. 11.
728x90

지난 포스팅에 클라우드 서버 용량 문제로.. 
결혼관련 사진, 영상 파일들을 고민 끝에 S3에 올리기로 결정했었다.

지난 글 보기

2024.06.08 - [수입/테크] - [24년 6월] 대용량 결혼 사진 장기 보관하기

 

하지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크나큰 문제점을 발견했는데..
비용이 이렇게나 저렴한데, 왜 인터넷에는 사람들이 추천하지 않았을까 고민을 해봤어야 했다..ㅠㅠ

1. AWS S3에서 내가 저장한 타입은 Glacier Deep Archive 로 장기 백업 전용 데이터다. 
막상 업로드하고 보니, 검색이 되지 않는다는게 무슨 뜻인지 알게 되었는데..

업로드한 사진을 다운로드 받으려니, 다운로드가 되지 않았다..
업로드 하자마자 삭제한것마냥 복원을 해야만 다운로드가 되는데, 심지어 복원할때 복원 기간도 정해야하고 복원할때 비용도 추가로 발생한다...!
정말, 자주 안쓰는 보관용 데이터를 저렴하게 사용할 때 좋을 것 같다.
물론 나도 그런 용도로 저장하긴 했지만 막상 보고싶을때 복원하고 최대 48시간을 기다려서 다운 받아야한다는 사실이..

s3 버킷 사진
다운로드도 안된다.

2. 회사에서 S3를 쓰고 있었으면서 당연한거였는데 눈치 못 챈것..
아마존 콘솔은 상당히 사용자 비협조적이었다.
사진, 영상 몇천장을 업로드했는데 복원은 둘째치고 일괄 다운로드가 안된다. 당연히 미리보기도 안된다.
하나씩 클릭해서 복원, 다운로드를 해야하는데 상당히 번거롭고 결국 cli, 코딩을 통해 복원, 다운로드를 해줘야한다. 
물론 나는 할 수 있지만..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들은 허들이 상당하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나도..굳이 고작 웨딩사진때문에 코딩까지 해야하나... 키 관리하기도 귀찮기도 하고
다시 압축해서 하나의 파일로 업로드 했다.. 

또 다시 기다림..

예상 100GB 기준 월 300~500원 내외의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개인 추억사진을 보관하는 것은 용도에 맞지 않는것 같다. (실제로 구글 드라이브, 원드라이브 이런 곳들도.. 100GB 정도 쓰려면 몇천원이면 된다..ㅠ 그거 아끼자고 지금 이짓을 )
그나마 AWS를 이미 사용중이거나 컴퓨터를 잘 다루는 사람들은 한번 고민해볼법한듯?

728x90
반응형

댓글